개발도구/프로그램도구

JDK 1.4 Version Eclipse + Tomcat Server 연동

[식군] 2011. 9. 27. 14:36

JDK 1.4 Version 으로 Tomcat Server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mcatPlugin Url : http://www.eclipsetotale.com/tomcatPlugin.html

먼저 위와 같은 2개의 파일이 필요합니다.

 

더보기 클릭 ~!!!

  



 

먼저 lomboz로 시작하는 파일을 더블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나오는데,

여기서 보면 이클립스폴더의 구조랑 유사한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압축을 이클립스 폴더로 덮어쓰기해 줍니다.

 

 

 

다음으로 tomcat...파일을 더블클릭 해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나오는데,

 




이것은 Plugin역활로 이클립스 폴더안에 plugins폴더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제대로 압축을 풀었다면 이클립스를 실행시켜봅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이 뜬다면 제대로 압축이 풀린 것입니다.

 

 

 

이클립스 메인 메뉴바와 도구모음에 아래와 같은 Tomcat목록과 고양이 그림이 있다면 제대로

설치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제대로 실행이 되진않음)

 

 

 

이제 메인 Menu bar중에서 window를 클릭하고  Preferences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Tomcat항목이 추가된것이 보일 것입니다. 선택하면 Version을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Tomcat Version 5.5를 사용하므로 Version 5.x를 선택하고 Tomcat home경로는 톰켓 설치 디렉토리로 잡아줍니다.

 

 

 

Tomcat 목록 서브로 들어가면 Advanced목차가 나오는데 여기서 Tomcat base역시 톰켓설치 디렉토리로 잡아줍니다.


 

이제 JVM Settings로 들어가서 JRE버전을 체크해 주어야하는데 기본적으로 잡혀있지만, 여기선 1.4 Version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1.4 Version으로 잡아줍니다.



이제 톰켓 서버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보면 아래와 같은 목록이 추가 된

것이 보일 것입니다.

 

 

먼저, Tomcat Project를 선택하고 프로젝트 명이랑 디렉토리를 설정해줍니다.

이때, 디렉토리는 톰켓을 설치한 폴더의 webapps\ROOT폴더로 꼭 지정해 줘야합니다.

그래야 웹에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됩니다.

 

 

 

제대로 설정하였다면 NEXT로 단계를 넘어가면 Context name가 나오는데, 여기선 최상의 개념의

\(루트)로 잡아줍니다. 밑에 체크박스가 있는데 업데이트하면서 정의할것이냐인데 이미 정의된 상태이기 때문에 무의미 하므로 체크표시를 없애줍니다.

 

 

 

설정이 제대로 완료되었다면 FINISH버튼으로 마무리하고 익스플로러 모드로 보면 다음과 같이

JspTest프로젝트가 완성된 것이 보입니다.(classes폴더랑 src폴더는 지워도 무방합니다만 다른

폴더는 지워서는 안됩니다. 물론 지우는것은 탐색기나 폴더를 열어서 지워야합니다.)

 

 

이제 고양이 버튼을 눌러봅시다. 3마리 고양이중에 제일 앞에 고양이가 Tomcat Server를 실행하라는 것이 므로 제일 앞에것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콘솔창에 정보가 뜨게되고 제일 마지막에

Server startup ... 이라는 메시지가 출력이 됩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제 제대로 서비스 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겠지요?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New를 선택해서 목차중에  Web디렉토리 밑에 HTML을 선택해서 문서를 하나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파일 name를 넣는 공간이 생기는데, 흔희 자주 사용되는 index.html을 써주도록 합니다.

(임의로 줘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마지막에 확장자명은 .htm .html은 맞춰주셔야합니다.)

 

 

 

body부분에 출력할 내용을 쓰고 저장을 합니다.

(꼭 저장을하셔야 컴파일 되기때문에 안하시면 웹상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제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창에 localhost:8080으로 열어보시면 아까 작성한 문서의 내용이 보일 것입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제대로 서비스 되고 있는 것입니다.